본문 바로가기

맞춤법

게 vs 께, 할게요 vs 할께요 – 맞춤법 헷갈림 완전 정리

 

게 vs 께, 할게요 vs 할께요 – 맞춤법 헷갈림 완전 정리

 

 

 

 

 

한국어 맞춤법에서 가장 많이 혼동되는 표현 중 하나가 바로 “게/께”와 “할게요/할께요”입니다.

 

발음이 비슷하다 보니 많은 사람들이 잘못 쓰지만, 실제로는 전혀 다른 의미와 문법적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쉽게 구분할 수 있는 기준과 풍부한 실생활 예문을 통해 확실히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1. “게”와 “께”의 차이


 

 

 

1)

 

 

의미

‘것이’의 줄임말이거나 동작의 결과·의도·방향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특징

상황이나 행동 설명에 쓰임

 

 

 

 

실생활 예문

 

-웃는 참 예쁘다.

 

-그 소식이 놀라운 사실이다.

 

-늦을까 봐 뛰어오 됐다.

 

-비가 오니 우산을 챙기.

 

-그 영화가 재미있던 기억난다.

 

 

 

 


2)


의미

‘에게’의 높임말, 존댓말에서 대상을 높일 때 사용

 

 

 

특징

반드시 사람과 함께 쓰임

 

 

 

실생활 예문

 

선생님 인사드렸다.

 

할머니 전화를 드렸다.

 

고객님 안내 말씀드립니다.

 

부모님 효도해야 한다.

 

교수님서 직접 강의해 주셨다.

 

 

 

 

 

 

 

 

 

 

 

 


2. “할게요”와 “할께요”의 차이


 

 

 

1) 할게요 O (정답)

 

 

의미

내가 하겠다는 의사 표현 + 존댓말

 

 

 

특징

상대방에게 정중히 의지를 표현할 때 사용

 

 

 

실생활 예문

 

걱정 마세요, 제가 처리할게요.

 

내일 회의 자료는 제가 준비할게요.

 

금방 다시 연락드리할게요.

 

오늘 저녁은 제가 살할게요.

 

그 부분은 제가 확인해 보할게요.

 

 

 

 

 

 

 

2) 할께요 X  (오답)

의미

없음. 맞춤법상 잘못된 표현

 

 

이유

‘-께’는 높임 표현이므로 행동의 의사 표현에는 사용할 수 없음

 

 

결론

“할께요”는 언제나 틀린 표현 → 절대 쓰지 말 것

 

 

 

 

 

 

 

 

 


3. 구분하는 법 (암기 팁)


 

 

-게 = 내가 하겠다 / 상태 설명

 

예: “제가 준비할게요.”

 

 

 

-께 = 누구에게 (높임)

 

예: “선생님께 말씀드렸다.”

 

 

 

할게요 = O / 할께요 = X

 

 

 

 

기억법

 

“게”는 행동

 

“께”는 존칭 대상

 

 

 

 

 

 

 

구분 올바른 표현 의미 용법 실생활 예문
동작·결과·의도 표현 “웃는 예쁘다.” / “열심히 하.”
높임 조사 (존댓말) “선생님 인사드렸다.” / “할머니 편지를 드렸다.”
할게요 할게요 내가 하겠다 (존댓말) “자료는 제가 준비할게요.” / “걱정 마세요, 제가 처리할게요.”
할께요 ❌ 틀림 사용하지 않음 X

 

 

 

 

 

 

결론
게”와 “께”는 품사가 전혀 다르다.
“할게요”만 맞고, “할께요”는 항상 틀린 표현이다.
실생활에서 정확히 구분해 쓰면 글의 신뢰도와 품격이 올라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