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맞춤법

“~에요”와 “~예요” 올바른 사용법

“~에요”와 “~예요” 올바른 사용법

 

 

 

 

 

 


1. 헷갈리는 이유


 

 

 

한국어를 사용할 때 가장 많이 실수하는 맞춤법 중 하나가 바로 “~에요”와 “~예요”입니다.

 

SNS, 카톡, 이메일, 블로그 글 등 일상에서 자주 쓰이는 표현인데, 어떤 경우에 ‘예요’를 쓰고 ‘에요’를 써야 하는지 모르는 분들이 많습니다.

 

발음이 비슷하고 말할 때는 구분이 잘 안 되지만, 글에서는 정확히 구분해야 문장 완성도가 높아지고 신뢰성이 올라갑니다.

 

특히 초등학생부터 성인까지 글쓰기에서 자주 틀리는 맞춤법이므로, 이번 글에서는 문법적 근거, 쓰임, 예문, 암기 팁까지 모두 정리하겠습니다.

 

 

 

 

 

 

 

 

 

 


2. “~예요” – 체언 뒤의 올바른 활용


 

 

 

“~예요”는 체언(명사) 뒤에 붙여 “~이다”를 표현할 때 쓰는 존댓말 종결형입니다.

 

원래 형태는 “이에요”인데, 체언이 모음으로 끝날 경우에는 ‘이’를 생략하고 ‘예요’로 씁니다.

 

 

 

 

 

사용 규칙

명사에 받침이 없으면 → “예요”

  • 친구 → 친구예요
  • 바나나 → 바나나예요

 

 

 

명사에 받침이 있으면 → “이에요”

  • 책 → 책이에요
  • 학생 → 학생이에요

 

 

 

 

 

예문

  • 이건 내 가방이에요. (책, 학생 등 받침 있음)
  • 이건 바나나예요. (바나나, 친구 등 받침 없음)
  • 오늘은 날씨가 참 좋네요. (체언 + 예요 활용)

 

 

 

즉, ‘예요’와 ‘이에요’는 모두 표준어이며, 붙이는 위치와 받침 유무만 확인하면 헷갈리지 않습니다.

 

 

 

 

 

 


3. “~에요”는 권장하지 않는 비표준 표현


 

 

 

사람들이 말할 때 “바나나에요”, “책에요”처럼 ‘에요’를 줄여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기준으로 보면,

 

 

 

  • 받침 없는 명사 뒤: “예요”
  • 받침 있는 명사 뒤: “이에요”

 

 

즉, 단독 “에요”는 표준어로 권장되지 않습니다.

 

실제 문서, 기사, 보고서에서는 ‘예요’ 또는 ‘이에요’로 통일하는 것이 올바른 표현입니다.

 

 

 

 

 

잘못된 예

  • 이건 사과에요. ❌ → “이건 사과예요.” ✅
  • 저는 학생에요. ❌ → “저는 학생이에요.” ✅
  • 오늘은 날씨가 따뜻한 날에요. ❌ → “오늘은 날씨가 따뜻한 날이에요.” ✅

 

 

 

 

 

 

 

 

 

 


4. “~예요”와 “~이에요” 구분법 암기


 

 

 

많은 사람들이 헷갈려하는 이유는 발음이 거의 동일하게 들리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글쓰기에서는 간단한 공식만 기억하면 쉽습니다.

 

 

 

 

받침이 있으면 → 이에요

  • 책, 학생, 집 → 책이에요, 학생이에요, 집이에요

 

 

 

받침이 없으면 → 예요

  • 나무, 엄마, 친구 → 나무예요, 엄마예요, 친구예요

 

 

 

에요 단독은 쓰지 않기

  • 비표준 표현, 글쓰기에서는 “예요/이에요”로 통일

 

 

 

 

예문으로 비교

  • 책 → 책이에요 O / 책에요 X
  • 바나나 → 바나나예요 O / 바나나에요 X
  • 친구 → 친구예요 O / 친구에요 X

 

 

 

 

 

 

 

 


5. 실생활에서 자주 틀리는 사례


 

 

 

SNS, 카톡, 이메일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실수와 교정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X 오늘은 날씨가 따뜻한 날에요.
O 오늘은 날씨가 따뜻한 날이에요.

 

 

X  이건 사과에요.
O  이건 사과예요.

 

 

X  저는 학생에요.
O  저는 학생이에요.

 

 

X  친구 집에 가요. → (발음상 OK)
O  친구 집이에요. (문장 완성)

 

 

 

 

즉, 말로 할 때는 ‘에요’처럼 들려도, 글로 쓸 때는 반드시 표준형인 ‘예요/이에요’로 써야 문법적으로 맞습니다.

 

 

 

 

 

 

 

 


6. 글쓰기에서 지켜야 할 습관


 

 

 

 

맞춤법 하나만 올바르게 써도 글의 전문성과 신뢰도가 크게 올라갑니다.

 

특히 블로그, 보고서, 자기소개서 등에서는 작은 실수도 글의 완성도를 떨어뜨리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받침 확인 후 ‘예요’ vs ‘이에요’ 선택

 

-단독 ‘에요’는 쓰지 않고, 표준형으로 통일

 

-말로 들리는 발음과 표기 구분하기

 

 

 

 

이 습관만 들이면 앞으로 ‘~에요’, ‘~예요’ 문제로 혼동할 일은 없습니다.

 

 

 

 

 

 

 

 

정리
받침 있는 명사 → 이에요
받침 없는 명사 → 예요
단독 ‘에요’ → 비표준, 쓰지 않기
발음과 표기는 달라, 글에서는 표준형을 쓰는 것이 중요
작은 맞춤법 차이지만 글의 완성도를 높이는 핵심 포인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