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맞춤법

쫓다 vs 좇다 vs 쫒다 – 헷갈리는 맞춤법 완벽 정리

한국어를 쓰면서 흔히 헷갈리는 단어 중 하나가 바로 “쫓다, 좇다, 쫒다”입니다.

 

발음이 비슷해 혼동되지만, 의미와 쓰임은 완전히 다릅니다.

 

특히 블로그, 보고서, 자기소개서 같은 글에서 잘못 사용하면 글의 신뢰도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세 단어의 정확한 의미, 올바른 사용법, 풍부한 예문, 기억법까지 모두 정리했습니다.

 

 

 

 

 

 

 

쫓다 vs 좇다 vs 쫒다 – 헷갈리는 맞춤법 완벽 정리

 

 

 

 

 

 

 

 


1. 쫓다

뒤를 따라가거나 추격하다


 

 

 

 

 

품사: 동사

 

뜻: 어떤 대상을 뒤에서 따라가다, 추격하다, 몰아내다

 

 

주로 사람, 동물, 상황을 따라가거나 내쫓는 물리적 행위에 사용

 

 

 

 

 

<예문>

 

경찰이 도둑을 쫓았다.

 

아이가 고양이를 쫓았다.

 

강아지가 나비를 쫓았다.

 

부엌 쥐를 쫓았다.

 

학생들이 운동장을 뛰며 공을 쫓았다.

 

바람이 낙엽을 쫓아 날렸다.

 

운전자가 자전거를 쫓았다.

 

사냥꾼이 토끼를 쫓았다.

 

강아지가 작은 새를 쫓아 뛰었다.

 

불청객을 쫓아냈다.

 

 

 

 

포인트
눈에 보이는 대상을 뒤따르거나 추격 → 쫓다

 

 

 

 

 

 

 

 

 


2. 좇다

 따르거나 추구하다


 

 

 

 

 

품사: 동사

 

뜻: 이상, 명령, 목표 등을 따르다 또는 추구하다

 

 

 

 

주로 정신적, 추상적, 의지적 대상을 따를 때 사용

 

 

 

 

 

 

<예문>

 

그는 정의를 좇아 행동했다.

 

학문적 진리를 좇아 연구했다.

 

제자는 스승의 가르침을 좇았다.

 

우리는 전통을 좇아 생활했다.

 

민족의 정신을 좇아 나라를 위해 헌신했다.

 

올바른 길을 좇아 살아가야 한다.

 

선진 문화를 좇아 발전을 모색했다.

 

그는 자신의 이상을 좇아 평생 노력했다.

 

신념을 좇아 위험을 감수했다.

 

인생의 목표를 좇아 끊임없이 노력했다.

 

 

 

 

 

포인트: 정신적, 추상적 대상을 따르거나 추구 → 좇다

 

 

 

 

 

 

 

 

 

 


3. 쫒다

비표준어, 잘못된 표현


 

 

 

 

 

표준국어대사전에 없음

 

“쫓다”와 발음이 비슷하지만 잘못된 표기

 

공식 글쓰기, 블로그, 보고서에서는 절대 사용 금지

 

 

 

 

 

 

 

 

<잘못된 예문>

 

경찰이 도둑을 쫒았다

 

아이가 강아지를 쫒았다

 

친구의 이상을 쫒아 따랐다 ❌

 

 

 

 

 

 

기억법: 눈에 보이는 대상 → 쫓다, 이상/목표 → 좇다, 쫒다 → 무조건 틀림

 

 

 

 

 

눈에 보이는 대상 → 쫓다

 

 

 

 

 


표현 의미 올바른 사용 잘못된 사용
쫓다 뒤를 따라가거나 추격 경찰이 범인을 쫓았다 경찰이 범인을 쫒았다 
좇다 이상, 목표, 신념을 따르다 정의를 좇아 행동했다 정의를 쫓아 행동했다 
쫒다 없음   모든 경우 

 

 

 

 

 

쫓다 → 눈에 보이는 대상을 뒤따르거나 추격할 때

 

좇다 → 정신적, 추상적 대상(이상, 목표, 신념)을 따르거나 추구할 때

 

쫒다 → 무조건 틀림, 쓰지 않는다

 

 

 

 

 

 

 

 

<실생활 예문>

 

 

쫓다 활용

 

강아지가 새를 쫓았다.

 

경찰이 범인을 쫓았다.

 

아이가 공을 쫓아 뛰었다.

 

 

 

 

 

 

 

좇다 활용

 

그는 정의를 좇아 행동했다.

 

학문적 진리를 좇아 연구했다.

 

올바른 길을 좇아 살아야 한다.

 

 

 

 

 

 

 

 

 

 

 

정리
표준어: 쫓다, 좇다

쫓다: 뒤를 따라가거나 추격할 때 사용
좇다: 이상, 목표, 신념 등을 따르거나 추구할 때 사용
쫒다: 잘못된 표현, 사용 금지

헷갈리기 쉬운 단어지만, 예문과 상황을 떠올리면 쉽게 구분 가능

물리적 추격 → 쫓다
정신적 추구 → 좇다
비표준어 → 쫒다는 절대 사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