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일상에서 자주 쓰이는 단어 중 많은 사람들이 헷갈리는 맞춤법이 있습니다.
특히 ‘설거지 vs 설겆이’, ‘곱배기 vs 곱빼기’, ‘아니에요 vs 아니예요’는 흔히 틀리기 쉬운 단어입니다.
블로그 글, SNS, 보고서, 학교 숙제 등 다양한 글쓰기 상황에서도 실수가 잦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정확한 뜻, 올바른 사용법, 잘못 쓰이는 사례, 풍부한 예문, 기억법까지 상세히 정리했습니다.
설거지 vs 설겆이
올바른 표현: 설거지
뜻
그릇, 식기, 주방 도구 등을 씻는 행위
표준어
설거지
틀린 표현
설겆이
<예문>
아침 식사 후에는 꼭 설거지를 해야 한다.
아이가 식탁을 치운 뒤 설거지를 시작했다.
설거지를 하지 않고 그냥 두면 음식물이 굳어 청소가 힘들어진다.
주말마다 가족이 돌아가며 설거지를 한다.
남편이 저녁을 먹고 설거지를 했다.
친구가 놀러 와서 함께 설거지를 했다.
캠핑 후 남은 식기를 모두 설거지했다.
설거지를 마친 뒤 주방이 한결 깔끔해졌다.
회사 구내식당에서 설거지를 담당하는 직원들이 있다.
설거지를 끝내고 나니 마음이 개운했다.
식기세척기를 사용하기 전에 설거지를 간단히 해야 한다.
요리를 마치고 난 뒤, 설거지를 서로 나눠서 했다.
식사 후 설거지를 미루면 냄새가 날 수 있다.
설거지를 도와준 덕분에 주방 정리가 빨리 끝났다.
아이가 설거지를 배우기 시작했다.
포인트
“겆”처럼 적는 것은 비표준어
표준어인 설거지만 사용해야 합니다.
곱배기 vs 곱빼기
올바른 표현: 곱배기
뜻
음식의 양을 기본보다 두 배 이상 늘린 것
표준어
곱배기
틀린 표현
곱빼기
<예문>
라면 곱배기로 주문했더니 배부르게 먹었다.
점심 메뉴를 곱배기로 시켜 친구와 나눠 먹었다.
김밥을 곱배기로 시키면 양이 훨씬 많다.
식당 메뉴판에 ‘곱배기 가능’이라고 적혀 있다.
술집에서 안주를 곱배기로 주문할 때는 가격을 확인하자.
치킨을 곱배기로 시켰더니 남은 건 포장했다.
떡볶이를 곱배기로 주문하면 매콤함이 배가 된다.
비빔밥을 곱배기로 시켜 든든하게 먹었다.
아이들 학원 도시락을 곱배기로 준비했다.
음식점에서 ‘곱빼기’라고 적힌 메뉴판은 비표준이니 주의.
점심시간에는 곱배기 주문이 많아 재료가 빨리 소진된다.
국수집에서 국수를 곱배기로 시켰다.
만두를 곱배기로 주문하면 양이 두 배다.
치즈라면 곱배기로 먹으면 배부르다.
햄버거를 곱배기 세트로 시켰다.
김치찌개를 곱배기로 끓여 여러 명이 나눠 먹었다.
덮밥을 곱배기로 주문하면 포만감이 크다.
포인트
음식점에서 ‘곱빼기’라고 쓰는 경우가 있지만 표준어는 곱배기
기억법: “배(양)를 곱한다 → 곱배기”
아니에요 vs 아니예요
올바른 표현: 아니에요
뜻
부정, ‘그렇지 않다’의 뜻
표준어
아니에요
틀린 표현
아니예요
<예문>
A: “이거 네 거 맞지?”
B: “아니에요, 제 것이 아니에요.”
친구가 내 물건을 가져갔다고 했지만, 나는 아니에요라고 답했다.
“저 오늘 못 가요?”
“아니에요, 괜찮아요.”
시험 점수와 관련해 오해가 있었지만 아니에요라고 바로 잡았다.
누군가 내 실수를 지적했지만, 그 내용은 사실이 아니에요.
A: “이 문제 어려웠죠?”
B: “아니에요, 생각보다 쉬웠어요.”
고객이 실수를 했다고 하지만, 사실은 아니에요.
“그거 네가 한 거 맞지?”
“아니에요, 제가 한 게 아니에요.”
A: “오늘 비 오나요?”
B: “아니에요, 날씨가 맑아요.”
누군가 오해했지만, 나는 아니에요라고 설명했다.
선생님이 질문했지만, 답은 아니에요였다.
친구가 내 계획을 잘못 이해했지만, 정정하며 아니에요라고 말했다.
형이 내 물건을 가져갔다고 했지만, 나는 아니에요라고 했다.
“그 일 네 책임이죠?”
“아니에요, 제가 한 것이 아니에요.”
동생이 나에게 잘못했지만, 사실은 아니에요.
포인트
‘예요’ 붙이는 것이 표준, ‘아니예요’는 비표준어
생활 속 헷갈리는 맞춤법 비교
표현 | 의미 | 올바른 사용 | 잘못된 사용 |
설거지 | 그릇·식기 씻기 | 설거지를 했다 | 설겆이를 했다 |
곱배기 | 음식 양 두 배 | 라면 곱배기 | 라면 곱빼기 |
아니에요 | 부정 | 아니에요, 괜찮아요 | 아니예요 |
정리
설거지: “겆” X → 거지처럼 씻는다
곱배기: 배를 곱한다 → 곱배기
아니에요: ‘예요’ 붙이는 것이 표준 → 아니에요
'맞춤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쫓다 vs 좇다 vs 쫒다 – 헷갈리는 맞춤법 완벽 정리 (0) | 2025.09.29 |
---|---|
붙이다 vs 부치다 – 헷갈리는 맞춤법 확실히 구분하기 (0) | 2025.09.29 |
몇일 vs 며칠 – 헷갈리는 맞춤법 제대로 알기 (0) | 2025.09.27 |
낳다 vs 낫다 – 헷갈리는 맞춤법 완벽 정리 (0) | 2025.09.27 |
‘던’과 ‘든’의 차이 – 헷갈리는 맞춤법 확실히 구분하기 (0) | 2025.09.26 |
부딪히다 vs 부딪치다 – 헷갈리는 맞춤법 완벽 정리 (0) | 2025.09.26 |
매다 vs 메다 – 헷갈리는 맞춤법 확실히 구분하기 (0) | 2025.09.26 |
가르치다 vs 가리키다, 그리고 ‘가르키다’ – 헷갈리는 맞춤법 확실히 구분하기 (0) | 2025.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