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사람들이 글을 쓰거나 말할 때 “맞히다”와 “맞추다”를 헷갈립니다.
두 단어는 발음이 비슷하지만 의미와 용법이 확실히 다릅니다.
블로그, SNS, 보고서, 숙제 등 어디서든 틀리지 않도록 올바른 사용법을 알아봅시다.
맞히다
정답이나 목표를 맞다
의미
정답, 타깃, 목표 등을 정확하게 맞추다
시험, 퀴즈, 사격, 주사 등 정확성을 강조할 때 사용
<예문>
시험에서 문제를 모두 맞혔다.
퀴즈에서 정답을 정확히 맞혔다.
주사 바늘을 정확히 맞히다.
내 예측이 들어맞아 맞혔다.
사격장에서 과녁을 정확히 맞혔다.
틀린 답을 고치고 정답을 맞혔다.
친구가 낸 문제를 바로 맞혔다.
로또 번호를 정확히 맞혔으면 좋겠다.
게임에서 적의 위치를 정확히 맞혔다.
아이가 문제를 풀고 정답을 맞혔다.
기억법: “맞히다 = 정답·타깃·목표 정확하게 맞추는 행동”
맞추다
조정, 계산, 맞음 확인
의미
서로 맞도록 조정하거나, 계산·계획 등을 조정·조율할 때 사용
정확히 맞는 정답보다는 조정·배치·동기화 의미
<예문>
시계를 정확한 시간에 맞췄다.
옷 사이즈를 신체에 맞게 맞췄다.
예약 시간을 맞추다.
일정 계획을 서로 맞췄다.
음악 소리를 다른 악기와 맞췄다.
예산을 계획에 맞게 맞췄다.
수업 시간을 다른 일정과 맞췄다.
전기 제품을 규격에 맞게 맞췄다.
컴퓨터 시간을 서버 시간과 맞췄다.
블로그 글 발행 시간을 최적화해 맞췄다.
기억법: “맞추다 = 서로 조정, 배치, 계산, 조율하는 행동”
표현 | 의미 | 올바른 사용 | 잘못된 사용 |
맞히다 | 정답·타깃·목표 정확히 맞다 | 시험에서 문제를 맞혔다 | 맞추다 (정확한 정답 의미 아님) |
맞추다 | 조정·계산·배치·조율 | 시계를 맞췄다, 계획을 맞췄다 | 맞히다 (정확한 정답 의미 아님) |
<혼동되는 상황 & 실생활 예시>
시험에서 답을 정확히 고르는 경우
→ 맞히다
시계를 시간에 맞게 조정
→ 맞추다
게임에서 정답을 맞히는 경우
→ 맞히다
친구와 약속 시간을 서로 맞추는 경우
→ 맞추다
실수하기 쉬운 포인트
정확히 맞는 목표에는 “맞히다”, 조정·배치·동기화에는 “맞추다”를 사용하면 됩니다.
기억법 요약
맞히다
→ 시험, 사격, 정답, 주사 등 정확히 맞는 목표
맞추다
→ 시간, 계획, 사이즈, 계산 등 조정·조율·배치
연상팁
“히 = 히트(hit) → 목표를 맞히다”
“추 = 조정 → 맞추다”
'맞춤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들르다 vs 들리다 – 헷갈리는 맞춤법 완전 정리 (0) | 2025.09.30 |
---|---|
얼마큼 vs 얼만큼 – 올바른 맞춤법 정리 (0) | 2025.09.30 |
생활 속 헷갈리는 맞춤법 완전 정리: 설거지, 곱배기, 아니에요 (0) | 2025.09.29 |
쫓다 vs 좇다 vs 쫒다 – 헷갈리는 맞춤법 완벽 정리 (0) | 2025.09.29 |
붙이다 vs 부치다 – 헷갈리는 맞춤법 확실히 구분하기 (0) | 2025.09.29 |
몇일 vs 며칠 – 헷갈리는 맞춤법 제대로 알기 (0) | 2025.09.27 |
낳다 vs 낫다 – 헷갈리는 맞춤법 완벽 정리 (0) | 2025.09.27 |
‘던’과 ‘든’의 차이 – 헷갈리는 맞춤법 확실히 구분하기 (0) | 2025.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