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맞춤법

‘-대’와 ‘-데’의 차이 완벽 정리 – 헷갈리는 맞춤법 끝장내기

 

 

 

‘-대’와 ‘-데’의 차이 완벽 정리 – 헷갈리는 맞춤법 끝장내기

 

 

 

 

 


‘-대’와 ‘-데’, 왜 헷갈릴까?


 

 

 

한국어 맞춤법 중 많은 사람들이 자주 틀리는 표현이 바로 **‘-대’와 ‘-데’**입니다.

 

“그 사람 예쁘대.”, “그 사람 예쁘데.”


두 문장을 보면 어느 쪽이 맞는지 헷갈리죠?

 

결론부터 말하자면,

 

 

 

‘-대’는 전달(전언)의 의미를 가진 ‘-다고 해’의 축약형입니다.

 

‘-데’는 화자가 직접 경험하거나 느낀 사실을 회상하거나 대조할 때 쓰입니다.

 

즉, ‘-대’는 들은 이야기, ‘-데’는 내가 본 이야기입니다.


이 차이를 정확히 구분하면 대부분의 문장에 자연스럽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대’의 쓰임 – 다른 사람의 말을 전달할 때


 

 

 

 

‘-대’는 ‘-다고 해(요)’의 줄임말로, 다른 사람에게 들은 말을 전할 때 사용합니다.


즉, 직접 경험이 아니라 전언(傳言)을 나타내죠.

 

 

 

 

예시 문장

 

친구가 오늘 비 온대. (= 친구가 ‘오늘 비 온다고 해.’)

 

엄마가 늦게 온대. (= 엄마가 ‘늦게 온다고 해.’)

 

그 식당 진짜 맛있대. (= 누가 그 식당 맛있다고 했어.)

 

내일 시험 어렵대. (= 사람들이 시험 어렵다고 하더라.)

 

 

 

이처럼 ‘-대’는 내가 들은 남의 말을 전달할 때 쓰이는 표현입니다.


그래서 문장 속에는 ‘직접 경험’보다는 ‘전해 들은 사실’의 뉘앙스가 담겨 있습니다.

 

 

 

 

 

 

 

문법적으로 보면


‘-대’ = ‘-다고 해(요)’의 준말

 

예) “그 사람이 온다고 해.” → “그 사람이 온대.”

 

 

 

 

 

 

 

핵심 정리

‘-대’는 “누가 ~라고 하대.”처럼 말을 전할 때 쓴다.

 

 

 

 

 

 

 

 


‘-데’의 쓰임 – 직접 경험이나 회상, 대조를 나타낼 때


 

 

 

 

‘-데’는 화자가 직접 보고, 듣고, 느낀 사실을 회상하거나 그 사실을 바탕으로 대조나 설명을 덧붙일 때 쓰입니다.

 

 

 

 

 

예시 문장

 

어제 가 봤는데 사람 진짜 많더라. (→ ‘봤데’(X)  ‘봤는데’(O))

 

그 사람 실제로 보니까 키가 크데?(X) → 키가 크데(X), 크데요(X)크던데요(O)

 

어제 영화 봤는데 생각보다 재미없더라.

 

밖에 나갔는데 너무 춥더라.

 

 

 

즉, ‘-데’는 내가 직접 느낀 사실을 말할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이때는 ‘-던데’, ‘-었는데’ 등의 형태로 자연스럽게 연결됩니다.

 

 

 

 

 

 

 

문법적으로 보면


‘-데’는 종결 어미가 아니라 연결 어미(‘-는데’, ‘-던데’) 형태로 쓰이며, ‘배경 설명’이나 ‘상황 대조’를 이끌어줍니다.

 

 

 

 

 

핵심 정리

 

‘-데’는 “내가 직접 보고, 듣고, 겪은 일”을 회상하거나 대비할 때 쓴다.

 

 

 

 

 

 

 

 


구분 뜻/기능 예문 설명
-대 다른 사람의 말을 전달 친구가 오늘 비 온대. 친구에게 들은 말
    그 식당 진짜 맛있대. 다른 사람의 의견 전달
-데 화자가 직접 경험한 사실 어제 가 봤는데 비가 오더라. 직접 경험한 일 회상
    밖에 나갔는데 너무 춥더라. 직접 느낀 사실 표현

 

 

 

 

정리하자면,

 

‘-대’ = 들은 말 (전언)

 

‘-데’ = 직접 본 일 (경험)

 

 

 

 

 

 

 

 

 

 

 


자주 틀리는 예문으로 완벽 정리


 

 

 

 

X “그 사람 진짜 착하데.”

 

O “그 사람 진짜 착하대.”


→ 착하다고 누가 말했을 때는 ‘-대’

 

 

 

 

 

X “오늘 영화 봤대 재미없었대.”

 

O “오늘 영화 봤대. 재미없었대.”


→ 친구에게 들은 내용이므로 둘 다 ‘-대’

 

 

 

 

 

 

X “오늘 가 봤대 사람 많았대.”

 

O “오늘 가 봤는데 사람 많았대.”


→ 직접 가 본 건 화자이므로 ‘-데’, 들은 건 타인이므로 ‘-대’

 

 

 

 

 

O “오늘 가 봤는데 진짜 맛있더라.”


→ 직접 경험했으므로 ‘-데’ 사용

 

 

 

O “친구가 그 식당 맛있대.”


→ 친구 말을 전하는 전언이므로 ‘-대’ 사용

 

 

 

 

 

‘내가 직접 겪은 일’은 ‘-데’,‘누가 그러더라’는 ‘-대’!

 

 

 

 

 

 

 

 

 


구어체와 문어체에서의 차이


 

 

 

구어체에서는 ‘-대’가 자주 쓰입니다.

 

예를 들어,

 

“비 온대.”


“그 사람 이사 간대.”


“그 가게 문 닫았대.”

 

이처럼 짧고 간단하게 들은 말을 전달할 때 ‘-대’가 편리하죠.

 

 

 

반면 문어체(글쓰기)에서는 ‘-다고 했다’, ‘-다고 한다’ 등으로 정확히 표현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그는 오늘 비가 온다고 했다.”


“사람들이 그 식당이 맛있다고 한다.”

 

글에서는 축약형보다 정식 형태를 쓰면 문장이 자연스럽고 문법적으로도 명확합니다.

 

 

 

 

 

 

 

 

 


함께 헷갈리는 표현들


 

 

 

‘-대’와 ‘-데’는 ‘-래’, ‘-재’, ‘-더라’ 등 다른 축약형과도 자주 혼동됩니다.

 

 

 


형태 원형 의미 예시
-대 -다고 해 전언 “그 사람 예쁘대.”
-래 -라고 해 명령·청유 전달 “엄마가 일찍 오래.”
-재 -자고 해 청유 전달 “친구가 같이 가재.”
-더라 / -던데 -더라 / -던데 직접 경험 “어제 갔는데 좋더라.”
 
 
 
 
 
 
 
요약 정리

-대 : 들은 말


-래 : ~하라고 해


-재 : ~하자고 해


-더라 : 내가 직접 경험

 

 

 

 

 

 


문장 연습으로 감 잡기


 

 

 

 

 

다음 문장에서 맞는 표현을 골라보세요 

 

 

 

 

친구가 내일 시험 어렵(대 / 데)?

더보기

어렵대 (전언)

 

 

 

어제 그 식당 갔(대 / 데)?

더보기

갔데(X)갔데요(X)갔는데(O)

 

 

 

밖에 나갔(대 / 데) 너무 춥더라.

더보기

나갔는데 (직접 경험)

 

 

 

사람들 말로는 그 영화 진짜 재미있(대 / 데).

더보기

재미있대 (전언)

 

 

 

내가 봤(대 / 데) 주인 아주 친절하더라.

더보기

봤는데 (직접 경험)

 

 

 

 

 

 

 

 

 

정리
‘-대’와 ‘-데’는 소리만 비슷할 뿐, 의미는 완전히 다릅니다.
남의 말을 전달하면 ‘-대’,
내가 직접 본 일은 ‘-데’ — 이 한 가지만 기억하면 됩니다.
헷갈릴 때는 이렇게 스스로 물어보세요.
“이건 내가 들은 말인가?” → ‘-대’“이건 내가 직접 본 일인가?” → ‘-데’
이 원칙만 익히면, 국어 맞춤법 실수는 확 줄어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