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설레인다”가 왜 자꾸 맞는 것처럼 들릴까?
많은 사람들이 “오늘 너무 설레인다”, “그 말을 들으니 마음이 설레인다”라고 쓰곤 합니다.
하지만 이 표현은 문법적으로는 틀린 표현입니다.
표준국어대사전 기준으로 ‘설레다’가 맞는 표준어, ‘설레이다’는 잘못된 표현으로 분류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설레인다”가 자연스럽게 들리는 이유는 한국어의 발음 습관 때문입니다.
‘설레다’의 활용형인 ‘설레어’, ‘설레어요’, ‘설레었다’ 같은 형태들이 실제 대화에서는 빠르게 발음되며 “설레여”, “설레요”, “설레였다”로 들리기 때문에, 이 소리가 ‘설레인다’처럼 변형되어 쓰이게 된 것입니다.
즉, 사람들이 잘못된 문장을 의식적으로 만든 것이 아니라 발음의 자연스러움이 잘못된 맞춤법을 만들어 낸 대표적인 예시라고 할 수 있죠.
2. 표준어 규정
'설레다’만이 정답인 이유
표준국어대사전은 ‘설레다’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습니다.
설레다 [동사]: 마음이 가라앉지 아니하고 들떠서 두근거리다.
예) 첫사랑을 떠올리면 아직도 가슴이 설렌다.
반면 ‘설레이다’는 표준어 목록에 없습니다.
한국어에서 ‘-이-’나 ‘-히-’가 붙는 경우는 주로 피동 표현일 때인데,
‘설레다’는 원래 감정이나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자동사입니다.
즉, 누가 마음을 설레게 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설레는 상태를 말하기 때문에 피동형 어미 ‘-이-’를 붙일 이유가 없죠.
다시 말해 “마음이 설레인다”는 말은 문법적으로 어색합니다.
정확한 표현은 “마음이 설렌다”, “가슴이 설레었다”, “설레는 마음으로”가 맞습니다.
✔ 예문 비교
(O) 내일 여행을 생각하니 마음이 설렌다.
(O) 그를 다시 만나니 가슴이 설레었다.
(X) 내일 여행을 생각하니 마음이 설레인다.
(X) 오랜만에 그를 봐서 가슴이 설레였어요.
3. ‘설레다’의 활용형 완벽 정리
문법적으로 올바른 ‘설레다’의 활용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활용 시 혼동되는 부분을 표로 정리해볼게요.
구분 | 틀린 표현 | 맞는 표현 |
현재형 | 설레인다 | 설렌다 |
과거형 | 설레였다 | 설레었다 |
진행형 | 설레이고 있다 | 설레고 있다 |
명사형 | 설레임 | 설렘 |
현재분사 | 설레이는 | 설레는 |
부사형 | 설레이게 | 설레게 |
특히 ‘설렘’ 역시 많은 사람들이 ‘설레임’으로 잘못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설레다’의 어근은 ‘설레-’이므로, 명사형 어미 ‘-ㅁ’을 붙일 때 ‘설레ㅁ → 설렘’으로 표기해야 합니다.
예)
(O) 첫사랑의 설렘이 다시 찾아왔다.
(X) 첫사랑의 설레임이 다시 찾아왔다.
따라서 “설레이다”뿐 아니라 “설레임” 역시 비표준 표현이라는 점을 함께 기억해두면 좋습니다.
4. ‘설레다’의 어원과 현대적 의미 변화
‘설레다’는 고유어로, 옛말에서는 ‘마음이 들뜨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비슷한 어원으로는 ‘설래다’, ‘설래이다’ 같은 방언형이 존재했는데,
이 방언이 구어체 속에서 ‘설레이다’로 변형되어 일부 지역에서 쓰이다가 잘못된 표준 형태로 확산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현대 한국어에서는 ‘설레다’가 단순히 감정의 떨림을 넘어
기대감, 긴장감, 행복감, 두근거림을 모두 아우르는 폭넓은 감정 표현으로 쓰입니다.
예를 들어,
“새 학기가 시작돼서 설렌다.”
“좋아하는 사람과의 첫 데이트에 설레었다.”
“여행 전날은 언제나 설렌다.”
이처럼 ‘설레다’는 감정의 진폭이 큰 ‘두근거림’을 포괄하는 감성적 단어로 자리 잡았습니다.
문학작품이나 광고 문구에서도 자주 등장하며,
‘설레는 봄’, ‘설레는 만남’처럼 형용사형으로도 많이 쓰입니다.
마무리
올바른 감정 표현은 언어의 품격이다
“마음이 설레인다”는 문장, 누구나 한 번쯤 써본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이제부터는 ‘설레다’가 표준어이며, ‘설레인다’는 틀린 표현임을 기억해야 합니다.
올바른 문장은 단순한 문법의 문제가 아니라,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정확히 전달하는 표현의 품격과도 연결됩니다.
글을 쓰거나 SNS에 문장을 올릴 때 “설레인다” 대신
“설렌다”, “설레었다”, “설레는”으로 바꿔 쓰면 훨씬 자연스럽고 세련된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정리
표준어: 설레다 (O)
비표준어: 설레이다 (X)
명사형: 설렘 (O) / 설레임 (X)
예문: “그를 생각하니 마음이 설렌다.”
'맞춤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껍데기 vs 껍질 – 헷갈리는 단어 완벽 구분법 (0) | 2025.10.07 |
---|---|
창피하다 vs 챙피하다 – 헷갈리는 맞춤법 완벽 정리 (0) | 2025.10.04 |
받아들이다 vs 받아드리다 – 올바른 맞춤법과 의미 정리 (0) | 2025.10.03 |
바라다 vs 바래다, 헷갈리는 맞춤법 완벽 정리 (0) | 2025.10.01 |
뵈요 vs 봬요, 헷갈리는 맞춤법 완벽 정리 (0) | 2025.10.01 |
맞히다 vs 맞추다 – 헷갈리는 맞춤법 완전 정리 (0) | 2025.09.30 |
들르다 vs 들리다 – 헷갈리는 맞춤법 완전 정리 (0) | 2025.09.30 |
얼마큼 vs 얼만큼 – 올바른 맞춤법 정리 (0) | 2025.09.30 |